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 물가 상승으로 인해 집에서 휴가를 보내는 분들이 많습니다. 시원한 에어컨과 달달한 여름 제철 과일과 함께 넷플릭스 같은 OTT서비스를 이용하며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보는 피서가 유행입니다.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는 필수품이 되어버린 에어컨이 가동도 안되고 LED 램프만 하염없이 깜빡 거릴 때 당황해서 무작정 A/S 센터에 전화 하게 됩니다.

A/S고객센터에 문의 전 에어컨이 가동도 안되고 LED 램프만 깜빡거릴 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엘지 에어컨 고장 시 집에서 손쉽게 자가진단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류 확인하기
먼저 에어컨 전원 코드와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내려 주시기 바랍니다.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없어도 엘지 에어컨 오류 확인 중에 감전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코드라도 반드시 뽑아야 합니다. 5분 후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올린 후 엘지 에어컨 코드를 연결 하여 엘지 에어컨 전원을 다시 올려주세요. 이 과정을 거쳤는데도 엘지 에어컨이 가동이 안되고 LED램프만 깜빡거릴 때 전문 엔지니어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에러 코드 확인 방법
LED색상에 상관 없이 바람 나오는 출구가 1개이며 LED 표시 램프가 1개인 엘지 에어컨일 때 표시되는 램프의 색상은 모델에 따라 초록색이나 빨간색이 있으며 이상이 생겼을 때 동일하게 표시 됩니다. 먼저 바람 나오가 출구가 1개인 일반적인 벽걸이 에어컨의 경우 LED램프의 점멸 시간으로 에러 숫자 단위를 구분 할 수 있습니다.
백자리(100)일 때 램프 점멸이 2초, 십자리(10)일 때 램프 점멸이 0.8초, 일자리(1)일 때 램프 점멸이 0.3초 정도 반복 됩니다. 에러코드 표시 순서는 일자리(1)번호 > 십자리(10)번호 > 백자리(100) 번호 순으로 반복 됩니다. 예를 들어 CH23이란 에러코드의 경우 램프 점멸 3회(0.3초 주기로 3회) 후 램프 점멸 2회(0.8초 주기로 2회) 반복, 즉 에러코드 23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바람 구멍이 4개 이거나 2개이며 LED 표시 램프가 1개인 경우 앞서 설명 드린 바람 구멍이 1개인 에어컨과 조금 다르게 표시됩니다. 바람 구멍이 4개이거나 2개이며 LED 표시 램프가 1개인 엘지 에어컨은 천정형 에어컨을 생각하시면 비교적 간단합니다.
이 에어컨의 경우 1의 자리는 초록색 램프등이 들어오며 10의자리는 주황색 램프 등이 들어오게 됩니다. 에러 숫자 단위 별 색상 및 시간을 살펴보자면 백(100)의 자리 일 때 초록색 LED 등이 0.5초, 십(10)의 자리 일 때 주황색 LED 등이 0.5초, 일(1)의 자리 일 때 초록색 LED 등이 0.5초로 표시 됩니다. 100의 자리와 1의자리가 동일 하기 때문에 에러 표시 순서를 잘 확인 하셔야 합니다.
에러 표시 순서는 백(100)자리의 번호 > 십(10) 자리의 번호 > 일(1) 자리의 번호 순으로 반복 점등 됩니다. 예를 들어 에러 코드가 05일 때 초록색 LED 등이 0.5초 주기로 5회 반복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바람 구맹이 4개, 2개, 1개이며 LED 표시 램프가 4개인 제품 입니다. 에어컨 조작 판 중 운전 표시 옆에 켜지는 빨간 LED 등은 일(1)자리를 의미하고, 필터 표시에 나오는 초록색 LED 등은 십(10)의 자리를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예약 표시에 표시되는 초록색 LED 등은 백(100)의 자리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운전 표시는 1의자리, 필터 표시는 10의 자리, 예약 표시는 100의 자리 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에러 숫자 단위 별 색상 및 시간을 정리 해 보면 각각 자리에 따라 숫자 단위만 달라 질 뿐 전부 0.5초씩 켜지며 전원 버튼 자리에 표시되는 LED등만 빨간색입니다.
에러 표시 순서의 경우 전원 버튼가까이에 뜨는 빨간 LED등 부터 1의 자리 > 10의 자리 > 100의 자리로 에러 코드가 표시 됩니다. 예를 들어 에러코드가 45일 경우 운전 버튼의 빨간색 LED등이 0.5초씩 4회, 필터 표시의 초록색 LED등이 0.5초씩 5회 켜지며 이것이 반복 됩니다.
A/S를 부르지 않아도 되는 자가 조치가 가능한 에러 종류
-엘지 에어컨 CH05 에러
CH05 에러의 경우 실외기 전원 차단을 한 후 실내기(에어컨)을 점검 해야 합니다. 당연히 실내기(바람나오는 에어컨 본체)도 전기 전원을 모두 차단 해 주셔야 합니다. 실외기, 실내기 둘 중 하나라도 전원 차단기를 차단 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에어컨의 모든 전력을 차단 했다면 에러 해제를 위해 실내기 전원을 차단 후 3분 후에 실외기 전원 차단기를 동시에 올려 주셔야 합니다.
권장 드리는 점은 실외기 전용 차단기가 설치 되어 있지 않거나 차단기를 올려도 반복적으로 내려간다면 반드시 전문적인 엔지니어의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니 시도 후 이상 증세가 반복 되거나 전원이 되지 않는다면 주저 없이 A/S 고객 센터로 문의하시거나 사설 업체를 통한 점검을 받으셔야 합니다.
- 엘지 에어컨 CH07 에러
CH07 코드는 운전 상태(냉방, 난방)가 다를 때 알려주는 코드입니다. 요즘 거실과 안방에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을 동시에 설치하는 2in1에어컨이거나, 중앙 냉난방 시스템일 때 하나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가 작동 할 때 발생하는 엘지 에어컨의 에러 코드입니다.
운전 상태는 항상 두 제품이 같을 때(둘 다 냉방이거나 둘 다 난방이거나) 정상적으로 에어컨이 작동하게 된답니다.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뒤 다시 전원을 공급 후 냉방 혹은 난방으로 두 에어컨의 운전 상태를 동일하게 작동 시켜 주면 된답니다.
만약 천장형 에어컨에 CH-07 표시가 나타나며 운전이 안될 때는 에어컨 전원 차단기 위치를 확인 하여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뒤 다시 차단기를 올려주시고 전체 에어컨을 차례대로 한 대 씩 가동하고 바로 운전 선택의 버튼을 눌러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시켜 사용 하시면 됩니다. 차단기 위치를 모를 경우 건물 관리 사무소 등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으면 됩니다.
- 엘지 에어컨 CH61 에러
CH61에러는 냉방 운전 시 실외기가 과열될 때 나타나는 증상과 난방 시 실내기가 과열 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에러입니다. 실외기의 과열로 발생하게 되는 CH61은 실외기 주변을 막고 있는 물건들의 정리와 실외기 환기창을 일직선으로 개방 해 실외기의 열을 배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면 됩니다. 간혹 실외기의 FAN이 정상적으로 돌지 않을 때 발생 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전문 엔지니어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이니 빠르게 공식 A/S 고객센터에 연락을 하거나 거주하는 동네 사설 에어컨 수리 기사분을 찾아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난방 시 실내기 과열로 인한 증상으로 CH61에러가 발생 시 실내기의 필터가 막혀 발생 할 수 있는 증상으로 에어컨 전원 코드와 차단기를 내린 후 에어컨의 필터를 청소 해 주면 손쉽게 해결 할 수 있답니다. 혼자 에어컨 필터를 청소하기 어려울 때 엘지 전자의 공식 서비스 센터나 에어컨 필터 청소를 전문으로 해주는 업체에 연락해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엘지 에어컨 A/S 고객 지원 센터
가정이나 상가에서 직접 확인 하고 해결 할 수 있는 에러들이 아닌 경우 아래 사이트나 연락처로 문의하여 A/S를 받아야 하니 고객센터 연락처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엘지 에어컨 A/S 고객지원센터 전화번호는 대표 번호 : 1544-777로 2대 이상 제품 서비스 접수가 필요 할 경우 유선 문의 하면 됩니다. 무상 보증 기간이 경과된 제품이거나 고장이 아니거나 사용자 과실 등으로 인해 제품에 문제가 발생 한 경우 유상으로 서비스 비용이 청구 되니 서비스 비용의 참고 링크로 미리 확인 후 사설 업체와 비교하여 보다 엘지 에어컨 고장 문제를 해결 해 시원한 여름 보내길 바랍니다.

댓글